티스토리 뷰
주식을 투자하기전에 알아야 할 여러 상식들이 있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조차도 모르고 투자를 하게 된다면 백전백패를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최소한 알고 계셔야 할 몇가지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예수금과 증거금 그리고 대용금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의 용어를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예수금이란?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선 증권계좌를 개설하고 투자할 돈을 넣어두어야 합니다. 이때 증권계좌에 넣어두고 아직 투식투자를 하지 않은 금액을 예수금이라고 하죠.
쉽게 말하자면 증권계좌에 예비로 수령한 자금이라할 수 있습니다. 예수금에서 조금 더 알아야할 사항이 있다면 예수금은 주식을 샀을 때 바로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예수금은 주식을 사자마자 줄어들지 않을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주식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보증금을 먼저 납부한 후 이틀 후 모든 대금을 일시적으로 납부하는 미수거래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금의 경우 주식을 구매하게 되면 이틀 후에 납부를 하게되는 것이죠. 그래서 D+1 예수금, D+2 예수금의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주식을 구매할 때 뿐아니라 보유한 주식을 판매할 때도 적용되기에 만약 여러분이 금요일에 주식을 팔게된다면 주말을 제외한 D+2일(화요일)이 지난후 예수금의 형태로 돈이 들어오며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미수금이란?
미수금은 아직 수금하지 못한 돈 즉 증권사가 아직 받지 못한 돈을 의미합니다. 주식을 구매할 때 미수거래등을 이용하게되면 매수시 증거금을 납부하게 되고, D+2 나머지 금액을 입금하게 됩니다.
이 때 나머지 금액이 증권사가 받아야할 미수금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미수금을 제대로 결제하지 못한다면 '반대매매'가 진행되게 되는데요. 반대매매가 진행된 후에도 납부하지 못하면 연체 이자료까지 물 수 있으니 주의해야할 사안입니다.
증거금이란?
이미 위의 내용을 이해했다면 증거금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것입니다. 증거금은 주식을 매매할 때 대금의 일정 비율을 미리 예탁하는 보증금을 의미합니다. 약정금액의 40%가 증거금이 되게되는데, 이는 증권사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또한 주식을 투자하는 사람의 경우 보유금액보다도 2.5배정도 더 많은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데요. 이를 증거금제도라고 부릅니다. 즉 예수금을 지금당장 많이 넣지 않더라도 투자금액의 약 40%정도만 예수금에 납입되어 있다면 3일결제를 채택하고 있는 주식시스템으로 인해 증거금 거래가 가능한 것이지요.
대용금이란?
대용금은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주식을 일정비율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다면 이 주식을 바탕으로 금액을 환산한 뒤 이를 담보로 사용하는것을 대용금이라 합니다.
대용금은 투자자산을 현금가치로 평가한 것이기에 현금처럼 출금할 순없지만 대용금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보유하고 있는 금액보다도 더 많은 금액으로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것이지요.
물론 대용금을 사용하게 되면 미수금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납부하지 못하면 연체는 물론 더 큰 손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의 기초 상식 예수금, 미수금, 증거금, 대용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4가지 개념은 서로 물리고 물리는 관계이기 때문에 쉽지만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기초 주식 상식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